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지식정보화사회 구현을 위한 농림부문 2단계 규제정비 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01-16)
    저자
    이동필 , 김종선
    등록일
    2001.08.01
  • 목차

    • 목 차
      Ⅰ. 연구개요
      Ⅱ. 지식정보화사회
      구현을 위한 농림부문 대응과제와 규제정비의 기본방향
      Ⅲ. 농림부문
      2단계 규제정비 구상
      1.
      농림통계자료의 수집 및 이용촉진을 위한 제도 정비
      2.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가. 농안법상 도매시장 종사자의 전자상거래 참여
      허용
      나. 농산물 품질인증제도의개선
      3. 전통식품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 정비
      가. 전통식품 및 향토음식의 제조방법과 규격의
      등록관리
      나. 비타민 및 무기질 보충제 등의 관리제도
      정비
      다. 포도주 등 농업인생산주류의 산업화를 위한 규제
      개선
      (1) 주류제조시설 기준의 완화
      (2) 주료제조면허취득절차의
      간소화
      (3) 민속주 등의 판매관련 규제
      완화
      4. 농어촌 휴양시설 및 관광사업 관련 규제 정비
      가. 청소년 이용시설에 농어촌 휴양자원 추가
      나. 농어촌 휴양사업의 시설규모 제한 폐지
      5.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표시제도 정비
      가.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에 대한 원산지 표시제도
      개선
      나. 포장한 농수산물 등에 대한 의무표시사항
      정비
      다.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특성에 맞는 중량허용오차
      적용
      6. 기타
      제도관련 농업·농촌·농민 민원사항
      가.
      농업인의 정년기준을 65세 이상으로 법제화
      나. 농작업재해의 산재보험대상 확대
      다. 농업재해 지원을 위한 피해산정기준 개선
      라. 농림축산시설의 설치관련 규제 정비
      마. 액비 살표에 필요한 획일적인 면적 고시
      개정
      바. 농기계 무상수리기간
      연장
      요 약
      지식기반경제사회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수반하기 때문에 경제제도 전반에 걸친 변화가 불가피하며, 이를 촉진하는 시스템적
      개혁을 위해서 법과 제도의 전면적인 재정비가 필요하다. 농림분야에서도 '지식정보화사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추어 전통농림업의 知識産業化와
      농업관련산업 부문에서 知識經營의 촉진, 그리고 지식정보를 기반으로 한 知識農政의 추진 등을 위해 관련법령상의 규제사무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산업이자 낙후된 지역으로 알려진 농업·농촌 부문에서 지나치게
      농업인등의 권리를 제한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규제, 현실적으로 지킬 수 없는 불필요한 규제, 형평성 등에 있어서 오랫동안 민원이 되어 왔던 규제
      등을 종합적으로 정비함으로써 지식정보화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농업·농촌像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림 부문 관련 법령에 있는 규제사무를 대상으로 [지식정보화사회 구현을 위한 규제개혁 3개년
      계획 추진방안(국무조정실)]의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 예시를 토대로 '지식정보화사회의 구현'이란 새로운 기준과 원칙을 적용, 규제사무를
      재검토하였다.
      제도와 관련된 농업·농촌·농민 부문의 민원성 규제를 발굴하기 위해 농협중앙회의 규제 관련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농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등 농림 부문 전문지에 보도된 규제 관련 기사를 참고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농림통계자료의 수집 및 이용 촉진을 위한 제도 정비, 농산물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전통식품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제도 정비, 농어촌 휴양시설 및 관광사업 관련 규제 정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이동필 (Lee, Dongphill)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7287 0 0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3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23년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김수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농식품 공급망에서의 물가 결정요인 분석 연구
      김종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연해주 한·북·러 농업협력사업 추진 기본전략 연구
  • 이전글 KREI북한농업동향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