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UR협상대응 농업기술 개발대책수립조사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정책일반

    과제성격
    수탁연구(C) (C1991-08)
    저자
    허신행 , 강정일; 이두순; 유승우; 강창용; 정무남; 엄기철; 한인규; 하종규; 유관희; 신현형; 김정일
    등록일
    1991.07.01
  • 목차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UR 협상으로 대표되는 국제농산물시장의 개방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국제경쟁력이 몹시 춰약한 국내농업은 이로 인한 적지않은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국제농산물시장의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우리 농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한 생산비 절감,
      품질경쟁역향상을 위한 제품의 고급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 농업은 고지가와 노동력 부족, 규모의 영세성 등으로
      인하여 규모의 경제성만을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 농업을 국제경쟁력이 있는 농업의
      형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생산체제로의
      일대변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상황인지을 토대로 국제화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농업부문의 기술개발방향을 설정하고, 분야별 - 경종작물분야,
      축산분야, 농업기계화분야, 식품가공분야, 유전공학분야 - 세부연구과제
      및 중단기 핵심개발과제를 선정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세계농업의 동향과 한국농업의 진로
      ○ 농업기술의 개발방향
      - 농업기술의 발전방향
      - 농업기술 수요조사 분석
      - 향후 농업기술의 개발방향
      ○ 분야별 중단기 핵심연구과제의 선정과 역할 분담
      - 핵심연구과제의 선정 기준
      - 분야별 핵심연구과제의 선정 및 개발투자계획
      - 유관기관별 역할 분담
      (2)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별 관련연구기관에서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과제들을 종합 분석한 후 6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의
      논의를 거쳐 전체적인 결론을 유도하였다.
      ○ 농업관련 기술개발수요의 판단과 개발방향을 정립하기 위해
      전국 농과대학, 정부출연연구기관, 농촌진흥청, 농협 및
      축협중앙회, 농업관련산업체, 선진독농가 등을 대상으로
      총530명에 대한 전문가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리고 1회의 공청회를 통해 세부연구 과제 및 방향에 대해
      자문을 받았으며,21차에 걸친 연구주관자들의 업무협의회를
      거쳐 분야별 최종 핵심과제 및 투자계획을 작성하였다.
      3.연구추진체계
      (1) 연구업무의 분담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총괄, 한국농업의 장기발전 방향과
      기술수요 제시, 농업부문 기술개발 우선 순위 결정 기준 설정,
      농업관련 기관의 기술개발 체계와 역할 분담
      ○ 서울대농과대학, 농촌진흥청: 곡물, 축산, 원예 및 기계화부
      문(4개부문)의 국내생산기술의 국제수준과의 비교 분석,
      기술개발의 투자액 추정, 기술개발의 기대효과 추정,
      농업생산기술의 핵심과제 설정, 농업부문기술개발의 기능적 분류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농산물가공기술의 국내수준과 국제수준
      의 비교, 주요 농산물 가공부문의 기술개발 투자액 추정과개발효과
      추정, 농산물가공부문 기술의 핵심과제 선정, 산업현장에서의
      기술수요 제고방안
      ○ 유전공학연구소: 생명공학 첨단기술의 농업부문 응용현황 파
      악, 문제점 및 국제수준과의 비교, 생산 및 가공부문에서의
      생명공학 응용방안
      (1) 연구결과
      농업을 5개의 분야-경종분야, 축산분야, 농업기계화분야,
      식품가공분야, 유전공학분야로 구분한 다음 각 분야별로 중단기
      기술개발 핵심과제를 도출하었다. 분야별 핵심과제 및 개발투자계획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농업기술개발 핵심 22과제 및 투자계획
      단위: 백만원



      핵심과제
      기술수준
      연차별개발투자계획



      현재
      목표
      1
      2
      3
      4
      5
      합계
      경종
      작물
      분야
      (4)
      과제
      농업생산환경보존관리 연구
      약용 및 우曲悴牛뮬 상품화 연구
      원예작물內需증대 및 수출증진 연구
      벼 생산비 절감 및 양질미 생산 연구
      2
      2
      2
      1
      4
      4
      4
      3
      300
      200
      330
      170
      500
      310
      480
      310
      600
      400
      650
      350
      820
      520
      780

      930
      620
      950
      500
      3,150
      2,050
      3,190
      1,810


      소계
      1,000
      1,600
      2OOO
      260O
      3,000
      10,200
      축산
      분야
      (5)
      과제
      돈육질개량과 생산비절감에 의한 돼지고기 경쟁력제고 연구
      계란 및 기금육의 생신비 절감 및 품질개선안구
      축우의능력개량및사육가술개발연구
      기축체조성 조절용 사료 및
      신시료자원개발을 위한 련구
      축산믈 생산환경의 위생상태 향상에 관한연구
      2
      2
      2
      2
      1
      4
      4
      4
      4
      4
      360
      300
      420
      430
      450
      460
      370
      580
      590
      580
      550
      510
      760
      730
      630
      510
      420
      670
      680
      630
      420
      400
      420
      470
      360
      2,300
      2,OOO
      2,850
      2,90O
      2,500


      소계
      1,960
      2,580
      3,180
      2,760
      2,070
      12,550
      농업
      기계
      화분

      (4)
      과제
      식량작물재매의 일관 기계화를 위한
      신기종개발
      시설원예와 가축시양관리의 기계화와 자동화
      농업기게의효율적 운용방법개발 농산물의 수확후 처리의 기계화와 자동화
      2
      1
      2
      2

      4
      4
      4
      4
      350
      400
      350
      350
      600
      650
      450
      400
      650
      700
      400
      500
      650
      550
      300
      550
      550
      600
      300
      600
      2,800
      2,900
      1,800
      2,400


      소계

      1,450
      2,100
      2,250
      2,050
      2,050
      9,900
      식품
      가공
      분야
      (5)
      과제
      쌀이용기술개발
      전략농산물의 가공을 제고 기술개발
      농산물의 수출촉진을 위한 유통 가공 기술개발
      국산농산물 자원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개발
      전통식품의 현대화 연구
      2
      2
      1
      1
      2
      4
      4
      4
      4
      4
      400
      410
      480
      370
      350
      460
      450
      540
      470
      470
      550
      480
      620
      530
      570
      300
      480
      420
      500
      310
      320
      500
      470
      580
      320
      2,030
      2,390
      2,530
      2,450
      2,020


      소계
      010
      3
      7
      1
      260
      11420
      유전
      공학
      분야
      (4)
      과제
      형질전황에 의한 고품질 작물개발
      고품질 사료첨가제 생산
      동물형질 전환기술개발
      무공해 생물 농약
      1
      1
      2
      2
      3
      4
      4
      4
      600
      300
      300
      300
      900
      450
      400
      400
      1,100
      650
      500
      600
      800
      200
      650
      600
      1,200
      300
      700
      400
      4,600
      1,900
      2,550
      2,300


      소계
      1,500
      2,150
      2,850
      2,250
      2,260
      11,350
      (22과제) 총계
      7,920
      10,820
      13,030
      1,1670
      11.980
      55,420


      (2) 활용방안
      정부의 농업기술 개발투자에 필요한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요약문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허신행 (Huh, Shinhaeng)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36714 0 0 0 0
    •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1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농업전망 2024 (2권) : 불확실성시대의 농업·농촌, 도전과 미래
      KREI
      2024.01.25
      KREI 보고서

      더보기

    •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거시경제 여건 변화의 농가경제 영향과 대응 과제
      김태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국내 타 부문 일자리 지원체계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윤종열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3/3차년도)
      엄진영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농가특성에 따른 농업생산성 제고 방안
      박지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농촌지역 청년정책 분석
      김문길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농촌 청년에 대한 역할 관련 인식과 요구 조사 결과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리빙랩을 통한 농촌 청년 실태와 요구 분석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농촌과 청년: 청년세대를 통한 농촌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 (2/2차년도)
      마상진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1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농업전망 2021 (2권) :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
      KREI
      2021.01.2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1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농업전망 2023 (2권) :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KREI
      2023.01.18
      KREI 보고서

      더보기

    •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기능성식품 경제적 효과 분석 및 수출확대 방안 조사
      황윤재
      2021.0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애그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김용렬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축산부산물 유통구조 개선방향
  • 이전글 농수산물 유통실태 조사연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