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농촌 학교의 활성화 요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마상진 , 최경환
    등록일
    2010.04.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이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통계와 조사를 중심으로 농촌 학교 현황과 문제점을 재 점검하고,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농촌 학교에 대한 사례 조사, 농촌 학교 일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촌 학교 활성화 요인의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촌 학교 현황과 문제점 분석, 농촌 학교 활성화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활성화된 학교에 대한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촌 학교 현황과 관련한 통계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도시보다 급격한 농촌의 학생 수 감소, 도시학교와 비교할 수 없이 ...

  • 목차

    • 1. 서론
      2. 농촌 학교 현황과 문제점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요약문

    이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통계와 조사를 중심으로 농촌 학교 현황과 문제점을 재 점검하고,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농촌 학교에 대한 사례 조사, 농촌 학교 일반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농촌 학교 활성화 요인의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농촌 학교 현황과 문제점 분석, 농촌 학교 활성화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활성화된 학교에 대한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촌 학교 현황과 관련한 통계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도시보다 급격한 농촌의 학생 수 감소, 도시학교와 비교할 수 없이 열악한 공교육 및 사교육 환경, 교사의 업무환경, 그에 따른 농촌 주민의 교육만족도 저하, 이농의향 등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 학교의 사례조사를 통해 농촌 학교 활성화에는 혁신을 주도한 교장의 리더십, 그 리더십을 따라주는 교사, 이들 학교 구성원이 만들어낸 농촌형 프로그램, 지역주민의 활발한 학교 운영 참여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농촌 학교 활성화에는 학교의 도시와의 접근성도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교사가 한 학교에 오래 근무하면서 농촌 학생에 대한 높은 기대 수준과 함께 전문성(학생 이해, 소규모 학급 운영, 학부모와의 교류, 지역자원 활용)을 발휘하면서 학교 변화를 주도하고, 학교장은 학교 발전의 비전을 설정한 후 지역주민과 교류를 통해 학교 운영에 참여시켰고, 지역주민은 높은 혁신 의식을 바탕으로 학교 운영에 적극 참여하였고, 학교 운영에 필요한 재정, 인력, 시설·장비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활성화된 농촌 학교는 정규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 자존감 회복, 직업체험, 문화·예술, 지역배우기, 학생자치/동아리, 방과후 공부방 프로그램 등 도시에서는 사교육으로 보충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은 공교육을 통해 모두 제공하고, 학생의 학업/진로와 관련한 학부모 상담, 각종 사회교육 프로그램 등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평생교육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농촌 학교 활성화 요인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농촌 학교 활성화에는 혁신을 주도할 교장의 리더십(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는 선행연구에서도 공통적으로 보고된 사항으로 한만길(2008)은 ‘새로운 학교비전 설정’ 그리고 ‘교장의 민주적 리더십’을, Barely 등(2007)은 ‘공유된 미션과 목표, 변화 촉진자로서 교장, 수업 리더로서 교장’ 등을, Masumoto 등(2009)은 ‘분배적 리더십, 수업지원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등 급격히 변화는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맞는 리더십’이 농촌 학교 활성화에 중요하다고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결과 폐교 직전이던 학교가 불과 몇 년후 학생이 너무 몰려 도시 학생이 오고 싶어도 올 수 없는 학교로 바뀐 경우, 그 이면에는 학교 변화를 주도적으로 이끈 교장의 리더십이 있었다. 교사가 초임시절 가졌던 교육에 대한 열정을 다시 불러 일으키고, 이들을 움직여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실현하여 학생의 기초학력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전인 교육을 실현하고, 나아가 학부모와 지역주민과의 교류 그리고 이들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들이 학교 운영과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함께 만들어 가는 학교를 만들었다. 학교 활성화 초기에는 이끌어가는 리더십이 중요하지만, 어느 정도 활성화된 후에는 혁신적 학교 문화의 정착을 위해 교사에 대한 권한위임과 학부모와 지역의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리더십이 필요하였다. 특히 교사가 자신의 소신을 펼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중요한데, 활성화 이후에는 교장이 중심에 서지 않고 환경 조성의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혁신의 분위기가 학교 풍토로 자리잡도록 하였다.
    둘째, 농촌 학교 활성화에는 농촌 학교 교육에 열정을 발휘하는 교사가 필요하다. 상당수 농촌 학교의 활성화가 교장의 리더십이 먼저 있었기에 가능했지만, 한만길(2008)은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열의’가, Barley 등(2007)은 ‘교사들의 장기 근속과 학생들에 대한 높은 기대’가 농촌 학교 활성화에 중요하다고 밝히고 있듯이, 교사가 학교장의 리더십에 동참(몰입)하여 교육에 대한 열정을 발휘하여 학교의 변화를 만들어 냈다. 특히 도시 학생, 학부모와 비교해 자신감이 부족하고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는 농촌 학생과 학부모를 이해하고 오히려 이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농촌은 떠나야 할 곳이 아닌 소중한 삶의 터전이며, 미래는 한 번 걸어볼만한 곳임을 깨닫게 해주는 교사가 있기에 학교 변화가 가능했다. 또한 학생의 학업이나 진로와 관련하여 학부모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지역의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지역 특성이 반영된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학교 운영이 되도록 하였다. 강력한 리더십을 지닌 혁신적인 교장이 떠나간 이후에도 학교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데에는 무엇보다 학교의 의사결정이 상향식으로 이루어지는 학교 풍토를 만들고 지켜낸 교사의 노력이 필요했다.
    셋째, 농촌 학교 활성화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학부모, 지역주민의 참여가 필요하다. 한만길(2008)은 ‘학부모의 참여와 협력’을, Barley 등(2007)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밀접한 관계’를, Masumoto 등(2009)은 ‘학교의 미션을 성취하고, 학생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공식적 비공식적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메커니즘’등이 농촌 학교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밝혔듯이, 이 연구의 조사결과에서도 학교를 혁신시킨 교장과 교사가 다 떠나가더라도 지역주민의 혁신적 참여가 보장된다면 그 학교의 활성화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역주민 참여 풍토 조성을 위해 대부분의 활성화된 농촌 학교에서는 먼저 지역주민에게 다가가고 있었다.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질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동시에 그 프로그램의 운영에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참여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농촌 학교를 학생을 위한 교육 이상의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오후 5시 이후에도 지역주민이 이용할 수 있게 시설을 개방하고, 방과 후나 주말 등을 이용하여 학부모와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 교육의 장을 마련하고 있었다. 특히 아이들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아이들을 대하는 태도 교육, 아이들 문제에 대한 상담 지원을 통해 학부모로서의 자녀 교육에 대한 스스로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농촌 학교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촌에서도 아이들이 미래(희망)를 꿈꿀 수 있게 해주는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이 구현되어야 한다. 한만길(2008)은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 Barley 등(2007)은 ‘방과 후 활동에 대한 강조와 돌봄 문화’, Masumoto 등(2009)은 ‘학생의 다양한 요구 지원시스템’ 등을 활성화의 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듯이, 이 연구에서도 도시 학교와는 달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가정에서의 돌봄 기능이 가미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농촌 학교도 학생의 기초학력 증진과 더불어 사교육 없이는 힘든 다양한 특기 적성 교육을 제공해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활성화된 농촌 학교에서는 자존감 회복을 위한 인성 교육, 다양한 직업에 대한 경험을 통해 성공해야 하는 이유, 공부해야 하는 이유를 발견하게 하고 있었다.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 및 지역의 성공사례 등 지역 배우기, 지역 교류 프로그램을 통해 농촌은 떠나야 할 곳이 아니라, 살만한 곳이고 희망이 있는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었다. 또한 농촌 지역사회의 사라져가는 문화를 발굴·보존하고, 이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농촌형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vitalizing rural schools. For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rural schools, reviewed rural school-related literature, surveyed eighty five rural schools and performed a case study of five revitalized rural schools.
    Case study and survey indicate that revitalization of rural schools depends on 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passion and speciality, community participation in school, and community-based school programs: Rural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makes the revitalization start; teachers' passion and speciality make the revitalization real; parent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make the revitalization last; and community-based school programs make the revitalization meaningful to community.

    저자에게 문의

    마상진 이미지

    저자소개
    마상진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0547 0 48 0 0
    •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금융화의 진전에 따른 세계곡물가격의 구조적 변화와 변동성에 관한 연구
      김우석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기후변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농가경제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김덕파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재난지원금이 가구 쇠고기 구입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소득분위별 효과를 중심으로
      전무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임가의 소득불평등도와 요인분해
      김민경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식품 소비 라이프스타일이 간편식의 구매 경험, 만족도, 구매 의향에 미치는 영향: HMR 유형별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은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임산물 산지종합유통센터의 효율성 및 영향요인 분석
      이현근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가축질병치료보험 가입에 따른 한우 농가의 방역치료비 변동성 완화 효과 분석
      남경수
      2024.03.20
      KREI 논문

      더보기

    •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문동현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조용빈
      2023.12.20
      KREI 논문

      더보기

    •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농작물재해보험 기준수확량 산출체계 개선방안 연구 -전라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정호중
      2023.09.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