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미국의 농업교육 변화 동향과 시사점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마상진
    등록일
    2014.01.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시장 개방과 더불어 기로에 선 우리 농업에 있어 농업교육은 가장 중요한 대응 전략의 하나이다. 한·칠레 FTA 이후 본격화된 농업교육에 대한 투자가 농업 현장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우리 연구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많은 농업교육 이수생들이 농업경영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신기술 습득 및 인적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농업경영비의 감소, 생산성 증대, 농업소득 증가와 같은 경제적 성과를 얻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주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서라도 농업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공공부문의 투자 확...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미국의 농업
      제3장 미국의 농업교육
      제4장 한국 농업교육에의 시사점

    요약문

    시장 개방과 더불어 기로에 선 우리 농업에 있어 농업교육은 가장 중요한 대응 전략의 하나이다. 한·칠레 FTA 이후 본격화된 농업교육에 대한 투자가 농업 현장에서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평가다. 최근 우리 연구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많은 농업교육 이수생들이 농업경영에 대한 자신감과 더불어 신기술 습득 및 인적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농업경영비의 감소, 생산성 증대, 농업소득 증가와 같은 경제적 성과를 얻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주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해서라도 농업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공공부문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리라 본다.

    이런 최근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우리나라 농업교육이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은 상황이다. 거시적인 농업교육 장기투자 계획 등은 다른 농업 선진국만큼 잘 갖추어져 있지만, 아직까지 미시적인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농업과 농업교육의 최근 동향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 농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some implication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s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education to Korea.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s policy including the Farm Bill, and selected agricultural statistics of the U.S.; NIFA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Agriculture)'s policy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selected strategic plans of U.S. agricultural education non-government groups; and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school education and agricultural extension.

    The U.S. has made a systemic and stable approach to agricultural education from the year of 1862 when USDA and the Morrill act was made. As public input for agriculture has been declining since 1980s, U.S. agricultural education has developed new strategies to cope with the changes including 1) dealing with broad educational contents rather than traditional agriculture, 2) focusing on transferable skills through working experiences, 3)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4) connecting with general education institutes and communities. These changing directions are common in Korea as well as most countries advanced in agriculture. However, how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have been made and how many stakeholders are sharing the vision are different among them.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needs more participation of various agricultural groups in policy and program making processes, which would make them more effective and endurable.


    Researcher: Ma Sang-Jin
    Research period: 2013. 1. ~ 2013. 10.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에게 문의

    마상진 이미지

    저자소개
    마상진 (Ma, Sangji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0067 0 64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