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 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마상진 , 정기환
    등록일
    2008.1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농업인구의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신규 취농자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취농을 준비하고 실행에 옮기는 신규 취농자들이 겪는 장애는 쉽게 나아질 것 같지 않다.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이 직면한 어려움의 구조적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아직까지 미흡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보고서는 신규 취농자들이 취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실제 정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각종 장애요인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그 해소방안은 기본적으로 신규 취농자로 하여금 사회적 자본...

  • 목차

    • 서론
      신규 취농 관련 이론
      신규 취농 관련 제도
      신규 취농 현황과 특징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실태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 방안

    요약문

    농업인구의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신규 취농자 유치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취농을 준비하고 실행에 옮기는 신규 취농자들이 겪는 장애는 쉽게 나아질 것 같지 않다. 연구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들이 직면한 어려움의 구조적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아직까지 미흡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보고서는 신규 취농자들이 취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실제 정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각종 장애요인을 구명하였다. 그리고 그 해소방안은 기본적으로 신규 취농자로 하여금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단계적 취농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자금 지원 위주의 정책 방향과는 사뭇 다른 접근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기본 방향 아래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를 위해 다양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는데, 신규 취농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및 관련 기관의 담당자, 관련 농업인 단체 관계자, 그리고 관련 교육기관의 교사, 교수, 운영 담당자들의 업무 개선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신규 취농자들이 겪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 해결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to lower entry barriers to farm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s, reassessed related systems, analyzed related statistics, surveyed new farmers and conducte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four factors of entry barriers to farming: economic capital, professional competencies, market and social network. The reassessment of related systems uncovered the following findings: the new farmer supporting system has relatively weak areas such as the market and social network; the central government's new farmer fostering program has a structural barrier to most of new farmers; some recently launched programs for new farmers have limited effects with no standard patterns to follow; agricultural literacy programs to induce people into agriculture are needed. Analysis of related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natural decrease of farmers due to old farmers' retirement accounts for the recent reduction of agricultural human resources; new farmers usually have limited resources, littl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organizations, and no agricultural education background. The results of surveys on new farmers and case studies showed that four entry barriers are valid: new farmers who are planning farming and who are starting up have different barriers from each other; new farmers who have prepared longer time an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agricultural organizations are inclined to have lower barriers; and social network is the key entry barrier which should be lowered before other barriers.
    These research results led to develop a basic direction of strategies to lower entry barriers to farming: to assist new farmer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by participating in agricultural organizations and to phase in farming with sufficient preparation. Under this direction,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of non-agricultural sector and foreign countries and drew the following eleven specific measures to remove entry barriers to farming: ① support the farming apprenticeship of agricultural students; ② stimulate employment in agricultural corporations or big farms; ③ energize central and local networks for new farmers; ④ assist the capital build-up of new farmers; ⑤ develop and supply comprehensive manuals for new farmers; ⑥ provide competency-based financial aid package including educational support; ⑦ provide educational support for secondary and tertiary agricultural students; ⑧ provide education and incentives to agricultural production organizations; ⑨ improve the data collecting system to secure more precise data on new farmers; ⑩ strengthen the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 of the people; ⑪ build up the central and local administrative supporting system for newcomers' entry into farming.
    Researchers: Ma Sang-jin, Chung Ki-Whan
    E-mail address: msj@krei.re.kr

    저자에게 문의

    마상진 이미지

    저자소개
    마상진 (Ma, Sangji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농업인력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0669 0 35 0 0
    •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같은 분야 인기 보고서가 없습니다.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