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조사연구 보고서

주요컨텐츠

정책평가·조사연구 보고서 

제4유형
조사연구 보고서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2020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 정주 만족도
1494

연구의 목적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어업인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46조에 따라 삶의 질 향상 위원회 전문지원기관으로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농어촌 지역 삶의 질 실태를 파악하여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첫째,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비교 분석하여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의 현 위치를 파악하였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도시 및 농어촌 주민 3,0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와 방문 면접 조사를 병행하였다. 특히 올해부터추진되는 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이하 4차 삶의 질 기본계획’)4대 정책 추진 전략에 따라 부문별 조사 항목을 개편하였다.

둘째,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인구 통계적 특성, 농어촌 지역 유형에 따른 각 정책 부문 여건 만족도 차이 및 이주 의향을 살펴보았다. 주민의 인구 통계적 특성은 연령별, 농어업 종사여부별, 귀농·귀촌 여부별로 살펴보았으며, 농어촌 지역유형은 읍·면 격차를 확인하고 근교, ·면 소재지, 원격 평야, 원격 산간, 원격 어촌 등 5개 지역 구분에 따른 정주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중 농어촌 주민의 행복감과 현재 거주 지역에서의 만족감은 도시 지역보다 높지만, 거주 지역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으로 나타난다. 주관적 웰빙 지수는 전년도와 비교하여 상승하지는 않았으나, 도시 지역보다 높은 경향을 유지하고 있었다. 공동체 및 지역사회 지수의 조사 결과 역시 농어촌 지역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4차 삶의 질 기본계획의 정책 부문에 따른 세부 여건에 대한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도시 지역보다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농어촌 주민의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면각 여건에 대한 읍·면 지역의 만족도 격차가 다르게 나타날 뿐 아니라, 주민의 특성과 농어촌 지역의 유형에 따라 각 여건에 대한 평가가 상이하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정주 여건에 대한 도·농 격차발생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농어촌 지역 주민의 계층별, 지역 특성별상이한 수요에 부합하도록 삶의 질 정책을 다각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농어촌 인구의 잠재적인 이탈 요인을 극복하도록 해야 한다.


목차

1장 서론

2장 조사 개요

3장 도시 및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비교

4장 농어촌 주민의 정주 만족도 특성

5장 결론 및 시사점

 

 

파일